[미래 신직업] 바이오의약품연구원의 역할과 전망

바이오의약품이란 무엇인가?

바이오의약품은 생물체나 생물공학 기술을 활용해 개발되는 의약품을 총칭합니다. 생물 유래 물질을 사용해 합성 의약품보다 독성이 낮고, 난치성 및 만성질환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세대별 바이오의약품

바이오의약품은 여러 세대로 나뉩니다. 1세대 바이오의약품으로는 인슐린, 성장호르몬, 백신 등이 있으며, 2세대는 동물세포를 이용한 항체와 단백질 의약품이 있습니다. 

[미래 신직업] 바이오의약품연구원의 역할과 전망

현재는 줄기세포와 세포치료제를 이용한 맞춤형 의약품, 즉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바이오의약품연구원의 역할

바이오의약품연구원은 바이오의약품의 연구와 개발을 위해 동물실험, 동물세포 배양, 임상 및 비임상 연구를 주로 수행합니다. 또한, 세포 개발, 분석법 개발, 특허 개발, 생산 공정 모니터링, 허가 문서 작성 등의 업무도 진행합니다. 각 기관의 성격이나 목표에 따라 세부 업무는 다를 수 있습니다.

바이오의약품 연구는 다양한 전문 분야로 구분되며, 생물학적 제제, 유전자재조합 의약품, 세포 배양 의약품,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등이 있습니다. 유전자 조작 기술이나 세포 배양 기술을 사용하고, 자가·동종·이종 세포를 배양·증식·선별하는 일도 포함됩니다.

임상실험의 예를 들면, 유전자를 조작해 세포에 삽입하고, 그 세포가 유용한 단백질을 생산하도록 유도하여 의약품으로 개발합니다. 후보물질을 도출해 동물에게 독성 및 약효를 실험하고, 안정성이 검증되면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진행합니다. 모든 단계에서 안정성과 효능이 입증되면 생산 시설을 구축해 의약품을 생산합니다. 이 과정은 최소 5년에서 최대 10년 이상이 소요됩니다.

또한, 의약품 제조(수입) 관리자로 활동하는 경우, 2013년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에 따라 2년마다 16시간의 법정 의무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바이오의약품연구원이 되는 방법

바이오의약품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인체에 대한 이해, 질병의 발병 기전과 약물의 작용 및 원리에 대한 전문 지식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대학(원)에서 (분자)생물학, 유기화학, 생리학, 약리학, 독성학, 병리학, 생명과학, 유전공학, 생화학, 약학, 수의학 등을 전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구소에서 근무하려면 석사 이상의 학력이 요구되며, 박사 학위 소지자가 우대됩니다. 외국 문헌 고찰이나 외국인과의 협력이 많아 영어 실력도 필요합니다.

바이오의약품연구원의 현재와 미래

바이오의약품연구원의 근무 시간은 일반적으로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입니다. 그러나 연구 특성상 실험 결과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하므로 야근이나 새벽 출근이 잦을 수 있습니다.

연구원들은 정부 출연 연구소, 정부 기관, 기업 부설 연구소, 생명공학 관련 벤처기업 등에 진출합니다. 또한, 의약품 제조업체, 식품 제조업체, 화학 제품 제조업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합니다. 일반 기업체의 신입 직원 초임은 연봉 3000만원 내외이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초임은 3500만원 수준입니다.

식약처에 따르면,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산업은 2009년 1013억 달러, 2014년 1790억 달러, 2019년에는 2625억 달러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바이오 의약품은 글로벌 10대 의약품 중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산 규모는 2011년부터 5년간 11.3% 성장했습니다. 수출은 34.5%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매년 생명공학 관련 전공 졸업자는 5만 2000명, 의사 3500명이 배출되고 있으며, 서울은 세계 1위 임상 도시로서 의료진, 의료 체계, 대형 병원 등 우수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의 바이오 공공 R&D 투자 규모는 OECD 국가 중 2위로 연간 4조 5000억원에 이르고,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바이오 IT 플랫폼'을 확대 운영하는 등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바이오의약품산업은 국가의 신성장 동력으로서 연구원의 수요가 확대될 전망입니다.

댓글 쓰기

0 댓글